본문 바로가기
과학

7.수권과 해수의 순환-2.해수의 특성과 순환

by GO ! 2023. 12. 5.

 

1.해수의 특성

 

염화나트륨 > 염화 마그네슘 > 황상마그네

 

염류는 해수에 녹아 있는 여러가지 물질이다.

염분은 해수 1Kg(=1000g) 속에 녹아 있는 염류의 총량을 g으로 나타낸 것이다.

단위는 psu(실용 염분 단위), (퍼밀) 이 있다.

전 세계 해수의 평균 염분은 35psu 이다.

전 세계 해수의 염분은 해역에 따라 다르다.

 

염분이 높은 바다

강수량  < 증발량, 해수가  어는   바다

 

염분이 적은  바다

강수량  >  증발량, 빙하가 녹는   바다

육지의 물이 흘러드는 바다

 

염분비 일정 법칙은 해수의 녹아 있는 염류의 구성 비율은 거의 일정하다

바다의 염분은 해역에 따라 다르다.

 

 

<실험>

깊이에 따른 해수의 온도 분포

 

<목표>

해수의 층상 구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준비물>

둥근수조, 소금물, 선풍기, 온도계 5개, 적외선 등

 

 

1. 수조에 소금물을 2/3 정도 넣고 온도계 5개를 2cm 간격으로 깊이를 달리하여 설치한 다음 각 온도게의 눈금을 읽어 처음 수온을 측정한다.

 

2. 수면 위에 적외선등을 설치하여 20분 동안 수면을 가열한 후 각 온도계의 눈금을 읽어 측정한다.

 

3. 적외선등을 켠 상태에서 3분 동안 작은 선풍기로 바람을 일으킨 다음 각 온도계의 눈금을 읽어 수온을 측정한다.

 

 

 

 

 

깊이에 따른 해수의 온도

 

혼합층

수온이 높고 거의 일정하다 -> 태양 에너지로 가열, 바람에 의해 혼합

바람이 강하게 불수록? -> 해수 깊은 곳까지 섞이기 때문에 두껍게 형성

 

수온약층

깊어질수록 수온이 낮아진다.

대류가 없는 안정한 층 -> 차가운 해수 아래, 따뜻한 해수 위쪽

 

심해층

수온이 낮고, 일정한 구간이다. -> 태양 에너지가 거의 도달하지 않기 때문이다.

 

 

2.해수의 순환

 

표층 해수의 온도 

적도지방은 높고 고위도는 낮다.

왜?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의 차이 때문이다.

 

 

해류는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흐르는 해수의 흐름이다.

 

난류는 저위도 -> 고위도, 따뜻한 해류

한류는 고위도 -> 저위도, 차가운 해류

해루의 흐름은 주변 지역의 기온에 영향을 준다.

 

 

우리나라 주변 해류 

 

 

난류 : 쿠오시오 해류 -> 동한 난류 -> 황해 난류

한류 : 연해주 한류 -> 북한 한류

 

조경 수역은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곳이다.

 

조류는 조석에 의해 주기적으로 변하는 바닷물의 흐름이다.

밀물은 바닷물이 육지쪽으로 밀려오는 흐름이다. -> 만조

썰물은 바닷물이 바다 쪽으로 빠져나가는 흐름이다 -> 간조

 

만조와 간조 때 해수면의 높이 차이가 가장 크게 되는데 이 차이를 조차라고 한다.

조석은 밀물과 썰물에 의해 해수면이 주기적으로 높아지고 낮아지는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