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1.내가사는세계-2.위치와 인간생활

by GO ! 2023. 11. 11.

1. 위치의 표현

큰 규모의 위치표현

대륙과 해양의 위치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우리나라는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태평양에 접해 있다.

위도와 경도를 호라용하는 방법으로 우리나라는 북위 33도에서 43도이고 동경 124도에서 132도사이에 위치한다.

 

위도

적도를 중심으로 지역의 위치가 남북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인데 지구에 가상의 가로선(위선)을 그어 나타낸다. 표시하는 방법은 적도보다 북쪽은 북위(N), 적도보다 남쪽은 남위(S)라고 나타낸다.

 

경도

본초 자오선을 중심으로 지역의 위치가 동서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인데 지구에 가상의 세로선(경선)을 그어 나타낸다. 본초 자오선보다 동쪽은 동경(E), 본초 자오선보다 서쪽은 서경(W)라고 나타낸다.

 

본초 자오선은 경도를 중심으로 잡은 선이다. 영국(런던)의 그리니치 천문대가 있는 곳을 중심으로 잡은 것이다.

 

 

작은 규모의 위치를 표현할 때

 

랜드마크의 활용하여 주변 경관 중 눈에 가장 잘 띄어 위치 파악에 도움을 준다.

행정 구역의 활용하여 도로명 주소 체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표현할 수 있다.

 

랜드마크의 예

 

2. 위도와 인간생활

지구는 둥굴기 때문에 위도에 따라 태양에너지를 받는 양이 달라져 기온이 다르게 나타난다.

적도부근 (저위도)는 단위 면적당 비추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 많아 일년 내내 기온이 높다. 

그래서 통풍이 잘되는 가옥에서 간편한 옷차림으로 생활한다. 여름철에는 백야 현상이 일어난다.

백야 : 해가 지지 않는 현상

 

극지방 부근 (고위도)은 단위 면적당 비추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 적어 일년 내내 기온이 낮다.

그래서 난방 시설이 갖춰진 가옥에서 두꺼운 옷을 입고 생활한다. 겨울철에는 극야현상이 일어난다.

극야 : 밤이 계속 이어지는 현상

 

 

 

위도에 따른 계절차이는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진 채로 공전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북반구와 남반구의 계절이 정반대로 나타난다.

즉, 12월에 북반구는 겨울이고 남반구는 여름이다.

 

 

3. 경도와 인간생활

 

경도에 따른 시차는 지구가 하루 24시간 동안 360도 자전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시차의 계산은 본초 자오선(경도 0도)를 기준으로 15도씩 동쪽으로 갈수록 1시간씩 빨라지고 서쪽으로 갈수록 1시간씩 늦어진다.

 

날짜변경선은 본초 자오선의 반대편인 경도 180도선을 기준으로 각국의 영토를 고려하여 태평양에 그어진 선이다. 이 선을 동에서 서로 넘어갈 때는 하루를 더하고 서에서 동으로 넘어갈 때는 하루를 뺀다.

 

 

 

세계 각 지역에서는 표ㅛ준 경선을 정해 그에 맞는 표준시를 사용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동경 135도를 표준시로 하여 영국보다 9시간 빠르다. (영국이 14시일 때 한국은 23시) 

러시아 등 동서로 넓은 영토를 가진 국가들은 여러개의 표준시를 사용하기도 한다. 반면 중국은 영토가 동서로 넓지만, 하나의 표준시를 사용한다.

 

한국과 일본은 같은 시간대다.

 

시차는 인간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해외여행을 떠날 때나 해외로 전화를 할 때 고려해야 한다.

해외에 스포츠 경기가 열릴 때 선수들이 미리 이동해 시차 적응 훈련을 실시해야 한다.

미국 서부와 인도사이에는 약 13시간의 시차가 있어 연속적 업무처리가 가능하다.

키리바시, 사모아 등 날짜 변경선 근처에 위치한 국가들은 해돋이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태평양

위도

경선

본초자오선

북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