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화의 의미와 기능
사회화는 개인이 자신이 속한 사회의 언어, 행동양식, 규범, 가치관 등을 배워 가는 과정이다.
사회화 과정을 통해 생물학적 존재에서 사회적 존재로 성장해 간다.
개인적 측면 : 자신만의 특특한 개성과 자아를 형성하고 사회생활에 필요한 행동양식 및 규범을 익혀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한다.
사회적 측면 : 사회 구성원들이 그 사회의 규범과 가치 등을 공유하게 되며 이를 다음 세대로 전달하여 사회를 유지하고 발전시킨다.
2. 사회화의 과정
이 사회 구성원들의 사회화를 담당하는 집단 또는 기관들을 사회화 기관이라 한다.
사회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지식, 기능, 가치, 태도 등을 새롭게 배우는 과정을 재사회화라고한다.
급속한 사회 변화와 평균 수명의 증가로 기존의 지식, 기능, 가치만으로 사회 적응이 어려워져 새롭게 사회화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3. 청소년기의 의미와 특징
아동기와 성인기의 과도기에 해당한다.
신체적으로 2차 성징과 같은 신체의 급격한 성징과 함께 외모와 이성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이 증대한다.
심리적으로 감정의 변화가 심하고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등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성향이 나타난다.
인지적으로 지적능력이 높아져 추상적, 논리적 사고능력이 향상된다.
사회적으로 부모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 독립하려는 경향을 보이며, 또래 집단에 대한 강한 유대감을 형성한다.
청소년기의 특징을 나타내는 표현
- 주변인 : 어린이와 어른의 어느 쪽에도 속하지 못하는 중간 단계를 말한다.
- 질퐁노도의 시기 : '거센 바람과 성난 파도'와 같이 격정적인 감정의 변화로 불안한 심리 상태를 말한다.
- 심리적 이유기 : 심리적으로 '젖을 뗸다'는 의미로 부모와 기성세대의 보호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
- 이유 없는 반항기 : 어른들의 권위에 도전하고 전통적인 가치를 부정하는 성향이 강하다.
자신만의 고유한 특성이나 모습 등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을 자아정체성이라고 한다.
자아정체성은 청소년기에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로 성인기의 삶과 사회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자신이 잘하는 것과 원하는 것을 파악하여 건전하고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신이 원하는 미래의 모습을 이루기 위한 계획수립과 함께 끊임없는 자기계발을 해야한다.
사회화
가정
재사회화
청소년기
X
O
X
O
ㄷ
ㄹ
ㄴ
ㄱ
ㄴ
ㄹ
ㄱ
ㄷ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8.문화의 이해-1.문화의 의미와 특징 (1) | 2023.11.13 |
---|---|
7.개인과 사회생활-3.사회집단과 차별 (0) | 2023.11.12 |
7.개인과 사회생활-2.사회적 지위와 역할 (0) | 2023.11.12 |
1.내가사는세계-2.위치와 인간생활 (0) | 2023.11.11 |
1.내가사는세계-1.다양한 지도 읽기 (0) | 2023.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