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8.문화의 이해-2.문화를 바라보는 태도

by GO ! 2023. 11. 13.

1. 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태도

자신의 문화만을 우수하다고 여기며 다른 사회의 문화를 열등하다고 무시하는 태도는 자문화 중심주의 다.

막장

 

자기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게 하고 집단 내 구성원들의 결속을 강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사실!!!!

다른 문화를 배척함으로써 다른 나라와의 갈등이나 국제적 고립을 가져올 수 있다.

그것이 지나칠 경우 문화 제국주의가 나타날 수 있다.

중국의 중화사상, 급진 무장단체(IS)의 문화재 파괴행위와 같은 사레를 들 수 있다.

IS의 고대 유적 하트라 파괴. 일제천황을 신격화하는 신사참배 사례.

 

 

 

다른 사회의 문화를 가치 있는 것으로 여겨 자신의 문화를 낮게 평가하는 태도를 문화 사대주의 라고 한다. 

 

 

 

다른 문화의 장점을 수용하여 자기 문화를 발전시키는 계기가되는 장점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외래 문화의 무비판적인 수용으로 자기 문화의 주체성과 정체성을 상실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천하도와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등이 있다.

 

가운데 중국을 크게 그렸다.

 

자문화 중심주의와 문화 사대주의의 공통점은?

문화 간에 우열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한 사회의 문화를 그 사회의 특수한 자연환경, 사회적 상황, 역사적 배경 등을 고려하여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문화 상대주의 라고 한다.

 

다른 문화를 있는 그대로 존중함으로써 다양한 문화가 공존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다.

다른 문화의 장점과 특징을 수용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며 발전할 수 있다.

 

문화 상대주의가 극단적으로 치우칠 경우 생명, 인간의 존엄성, 자유와 같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가 침해될 수 있다.

"저 나라는 인간을 맛있게 먹는구나. 계속 맛있게 먹어."

"저 나라는 여자의 인권을 무시하는 전족을 사용하는 구나. 계속 그렇게 살어"

 

 

 

 

 

 

2. 바람직한 문화 이해 태도

 

다른 사회의 문화는 그 사회의 환경과 역사적 상황을 고려하여 각 사회마다 다양한 문화가 존재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문화의 상대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자기 문화에 대한 주체성을 바탕으로 다른 문화를 편견 없이 받아들이는 개정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총체적, 비교론적 관점에서 한 사회의 문화를 전체적인 맥락에서 바라보고 문화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파악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