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8.문화의 이해-3. 대중 매체와 대중문화

by GO ! 2023. 11. 13.

1. 대중매체와 대중문화

다수의 사람에게 대량의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을 대중매체라고 한다.

다양한 대중매체 간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으며, 형태나 기능면에서 서로 융합되고 있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저오의 전달 방식이 일방향에서 쌍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일방향 매체에는 인쇄매체, 음성매체, 영상매체가 있다.

인쇄매체에는 신문, 잡지, 책 등 문자와 사진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음성매체는 라디오로 소리 정보를 전달한다.

영상매체에는 TV로 영상과 소리로 정보를 전달한다.

 

쌍방향 매체에는 뉴미디어가 있다. 1인미디어, 누리소통망(SNS)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활용해 정보를 공유하며 소통한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정보를 대량으로 확산시킨다.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해져 대중이 문화를 형성하는 생산자로서 참여하게 된다.

 

 

특정계층이나 집단이 아닌 다수의 사람이 공통으로 즐기고 누리는 문화를 대중문화라고 한다.

대중매체를 통해 대중문화가 형성되고 발전했다.

다수의 취향에 맞게 대량으로 생산되고 다수에 의해 대량으로 소비된다.

 

 

대중문화의 형성요인

 

정치면에서 보통 선거 실시로 대중의 정치적 수준이 향상되었다.

경제면에서 산업화(기계화)로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가 가능해져 대중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었다.

사회면에서 의무교육의 실시로 대중의 교육 수준이 향상되었다.

문화면에서 대중매체의 발달로 다수에게 동시에 전파되었다.

 

순기능

과거 소수 계층만 누리던 문화를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문화의 대중화에 기여)

적은 비용으로 유용한 정보를 다수의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 (정보 전달의 실용성)

즐거움과 휴식을 제공하여 삶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다양한 오락제공)

 

역기능

대중문화가 상품화되며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내용을 다루어 문화의 질이 낮아지기도 했다. (상업성추구)

동일한 내용의 문화가 생산되어 개인의 개성이 상실되거나 문화의 다양성이 저하될 수 있다. (문화 획일화)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여 정보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왜곡된 정보전달)

특정 대상이나 집단에 유리하도록 여론이 조작될 수 있다. (여론 조작)

오락성에만 치중하여 정치적 현상이나 사회 문제에 무관심해질 수 있다. (정치 무관심)

 

 

 

2. 대중문화의 올바른 수용태도

 

정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태도가 필요하다.

대중 매체가 제공하는 정보의 정확성을 여러 매체를 통해 비교, 검토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대중문화가 흥미뿐만 아니라 유의미한 내용을 전달하는 수단임을 인식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대중이 수동적인 소비자에서 벗어나 새로운 대중문화를 생산하는 능동적인 생산자로 참여해야 한다.

잘못된 정보에 대한 시정을 요구하거나 의견을 제시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주체적으로 수용하려는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대중 매체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건전하게 활용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너무 맹신하면 안됀다.

 

 

TV, 신문, 인터넷을 바라보는 시각을 갖자.

  •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인 내용이 있는가?
  • 흥미만을 자극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가?
  • 특정 상품을 노출하여 홍보하는 장면이 있는가?
  • 특정 대상이나 집단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있는가?
  • 정보를 왜곡하여 전달하지 않는가?
  • 소수에 의해 여론이 조작되지 않는가?